칼럼
영웅은 법적 지식을 공유하여 고객님들께 한걸음 더 다가갑니다.
[이혼칼럼] CCTV증거보전신청 없었다면 놓칠 뻔한 배우자불륜위자료
배우자의 불륜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감당하기 힘든 고통이 따르죠.
그런데 정작 상간 소송이나 이혼소송을 진행하려면, 감정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법원에서는 명확한 증거가 필요하니까요.
이때 흔히들 불륜의 증거로 사진, 문자, 통화기록 등을 떠올리지만, 이것만으로 충분치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상대방이 철저히 증거를 없애려는 태도를 보인다면, 우리가 가진 선택지는 더더욱 좁아지죠.
이럴 때 빛을 발하는 것이 바로 CCTV 증거보전신청입니다.
CCTV를 통해 확보한 자료는 불륜의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으며, 법적 효력도 강력하죠.
단, 이 신청 절차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시기를 놓친다면 소중한 기회를 잃을 수도 있는데요.
이 글만 읽고서도 선생님께서 직접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드릴게요.
상간 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명백한 불륜증거수집
법적으로 상간소송을 인정받으려면 배우자가 실제로 부정행위를 했다는 사실이 필요하죠.
다만 증거 안에서 상간자가 배우자의 기혼 사실을 알았다는 고의성까지도 입증해야 하는데요.
여기서 문제는 대다수의 불륜 상황이 은밀하게 진행되기에, 증거 확보가 결코 쉽지 않다는 겁니다.
단순한 문자메시지나 식사 자리가 담긴 사진만으로는 법원에서 부정행위로 인정받기 어려워요.
결국 여러분의 입장을 뒷받침할 더 강력한 증거가 필요한 거죠.
그 증거 중 하나가 바로 숙박업소나 공공장소에서의 CCTV 영상증거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CCTV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그 자료를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이를 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확보하는 과정이 바로 CCTV증거보전신청입니다.
CCTV증거보전신청, 왜 이렇게 중요하냐면요.
CCTV는 불륜의 직접적인 현장을 입증하는 데 가장 확실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숙박업소에서 배우자와 상간자가 함께 출입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은 부정행위를 명백히 증명할 수 있는 강력한 자료죠.
하지만 CCTV 기록은 생각보다 빨리 삭제될 수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대부분의 숙박업소는 개인정보 보호나 저장 공간 문제로 인해 보통 2주 이내에 자료를 덮어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체되면 증거를 잃을 위험이 크죠.
또한, 개인이 숙박업소를 찾아가 자료 제공을 요청한다고 해도, 법적 권한이 없는 상태에서는 협조받기 어렵습니다.
심지어 요청 자체가 거절당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 때문에 법원의 힘을 빌려 CCTV 증거보전 신청을 통해 자료를 확보해야 합니다.
보전 신청 없이 요구했다가 괜한 걸음과 시간 낭비하여 지체하지 않으셨으면 하네요.
CCTV증거보전신청, 어떻게 진행하나요?
CCTV 증거를 확보하려면 법원을 통해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증거보전 신청서를 작성해야 하는데요.
신청서에는 상대방의 신상정보, 증거 확보의 필요성, 증명하려는 사실 등을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이때 신청 사유를 구체적이고 자세히 서술하는 것이 중요하죠.
✔️ 신청서 작성에 필요한 내용
- 상대방의 표시 (예: 배우자와 상간자의 신원)
- 신청 사유
- 증명하고자 하는 사실
- 보전해야 할 증거의 구체적 내용
신청 사유를 작성할 때는 왜 이 증거가 필요한지, 어떤 사건을 증명하기 위해 필수적인지를 상세히 서술해야 합니다.
신청서에 오류가 없다면 법원의 결정문이 발급되고 숙박업소 또는 영상 보유자에게 결정문이 전달되죠.
이후 숙박업소 측은 요청받은 자료를 법원에 제출하고 검증 기일에 법원에서 자료를 확인하게 됩니다.
위 절차는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 진행하려면 신청서 작성부터 자료 확인까지 시간이 꽤 소요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보정명령을 받기 십상인데요.
보정명령까지 받게 되는 경우 다시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고 결국 시간이 지체되어 눈앞에서 증거가 사라지는 연출이 나타날 수 있겠죠.
때문에 확실한 진행을 원하신다면 변호사 조력만큼은 꼭 받아보시기를 바랍니다.
CCTV증거보전신청, 결정적인 증거인 만큼
시기를 놓치면 더 이상 기회가 없습니다.
혼자 모든 것을 감당하려고 하지 말고 연락해 주십시오.
↓